반응형
반응형
자신이 고혈압을 진단받은 사람이 아니거나, 주변에 고혈압을 걸린 지인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Q1. 고혈압이면 그냥 혈압이 조금 높은거 아닌가요? 심각한건 아닌거 같은데... Q2. 고혈압에 무슨 약까지 먹고 귀찮게시리... 그냥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는거 아닌가? Q3. 고혈압이면 약먹고 짠거 안먹으면 괜찮아지는거 아닌가요? Q4. 고혈압은 암이나 질환인가요?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근거를 위해 대한고혈압학회 2022년 고혈압 진료지침과 2024 FACT SHEET를 참고하였습니다. [목차]1. 고혈압의 정의2. 고혈압 현황3. 고혈압 치료4. 질문에 대한 답 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 高血壓 )높을 고, 피 혈, 누를 압말 그대로..
1) 정상 소변 횟수?하루에 4-7회 / 밤에는 0-1회 정도 2) 정상 소변 총량?하루에 소변 총량 800-1000mL 3) 정상 한번 소변량? 200-400mL 4) 내 소변량 확인하는 법? 종이컵 한컵이 180-200mL 정도삼다수 페트병 작은 것 500mL 한번 볼 때 종이컵 1-2컵 정도 OR 삼다수 페트병 반병~ 한병 꽉 안차게 5) 하루 수분 섭취 권장량?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일반적으로 성인 남자는 3.7L / 성인 여자는 2.7L (음식 포함)음식을 제외하면 남자는 3L / 여자는 2.2L 체중에 따라 계산하면 [체중kg ×30~40mL] 보면 삼다수 페트병을 5번정도는 채워 마셔야합니다. (남자는 1번 더) 6) 내 소변이 이상해요?ⓞ 소변 색 - 지나치게 진하거나 밝은 색, 혹은 붉..
음식을 하면 자주 사용되는 식재료, 양파입니다. 양파 썰다가 울고, 양파 만진 손으로 눈물 닦다가 다시 또 따가워서 울고 이런 적 있으신가요? (물론 절대로 이러지 않는게 좋겠네요 ㅎㅎ)오늘은 왜 양파의 매운맛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양파의 매운맛은 화합물, 이소알리신(Isoallicin) 때문이라고 합니다.이소알리신은 양파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이며,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해 방출된다고 합니다. 양파에서 매운맛과 향을 담당한다고 합니다. 양파는 Allium cepa L. 이라는 식물로 Allium이라는 속(genus)에 해당합니다. Allium이라고 하면 어렵지만 한글말로는 쉽습니다. 부추속이라고 합니다. 부추속에 포함되는 것이 양파, 마늘, 부추, 달래, 염교, 파 등이 있습니다. 양..
https://www.youtube.com/watch?v=6ObNnCTV6MY 우선 허벅지의 근육에 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허벅지 앞 근육대퇴사두근이라고 합니다.Quadriceps femoris라고 하며 여기에는 Rectus femoris(대퇴직근), Vastus medius(내측광근), Vastus lateralis(외측광근), Vastus intermedius(중간광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역할은 무릎 관절의 신전(펴는 동작)과 엉덩이 관절의 굴곡(대퇴직근의 경우)을 담당합니다. 인체를 그리는 사람들은 심플하게 근육을 잘 표현합니다. 2. 허벅지 옆iliotibial tract는 골반에서 정강이까지 연결된 넓은 결합조직입니다. 하지의 안정화, 하지의 충격을 분산하여 관절과 근육을 보호하는 ..
[재활- walking의 정리입니다. 자세한 보행의 모습은 각 본문을 참고해주세요.]0. 서론잘 걷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주변을 보면 걷는 것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는 걷는다는 행위를 단순히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걷는다는 것, 즉 보행은 그렇게 단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우리 몸에서 뇌와 신경을 포함한 신경계와 근육계, 골격계, 심혈관계 등의 조화로 이루어진 복잡한 동작입니다. 신경으로 신호를 주고 근육이 움직이고, 골격이 움직여 몸이 움직이고 근육에게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계가 필요합니다. 또 이를 자연스럽게 진행하기 위한 훈련도 경험을 통해 학습해 나갑니다. 보행장애는 이러한 시스템에 오류가 난 상황을 의미합니다. 나이대와 상관없이 보행장애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