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Walking 시리즈 입니다. 이번에는 파킨슨 병과 관련된 보행인 Parkinson G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파킨슨 병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보행에 대해서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킨슨 병 (Parkinson disease, PD) ] 신경퇴행성질환의 하나로, 중뇌의 흑색질(substantia nigra)이라 불리는 부위의 도파민계 신경이 점점 사멸해가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흔히 50~79세 사이에 잘 생기며 드물기는 하지만 어린이나 청소년에게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60세 이상에서 1%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흑색질(Substantia nigra, SN)이란?글자 그대로 해..
안녕하세요. Walking 시리즈 입니다. 이번에는 병적 보행 중 하나인 전두엽 보행 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두엽 보행 장애? (Frontal gait disorder)주로 노년층에서 발생하며, 뇌의 전두엽이 손상되거나 기능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하는 보행 장애입니다.전두엽은 대뇌의 앞쪽에 위치해 있으며, 감정, 운동, 지적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2. 특징보행 시작의 어려움: 환자들이 보행을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짧고 끌리는 걸음(Marche à petit pas): 작고 느린 보폭.팔 흔들림 정상: 파킨슨병과 달리, 팔의 움직임은 보통 정상적.낙상 위험 증가: 균형 장애로 인해 쉽게 넘어짐.파킨슨병과의 차이점:상체에 파킨슨병과 관련된 떨림(tremor), 강직(rigidi..
안녕하세요. Walking 시리즈 입니다. 이번에는 파킨슨 병과 관련된 보행인 Parkinson G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파킨슨 병?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뇌의 기저핵(basal ganglia)과 특히 흑질(substantia nigra) 부위에서 도파민을 생산하는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손실되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운동 조절에 이상이 생기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악화되는 만성적이고 진행성 질환입니다. 2. 원인Parkinsonian gait의 원인은 주로 기저핵(basal ganglia)의 이상으로, 특히 다음과 같은 신경학적 기전이 관여합니다:도파민 결핍흑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신경 세포 소실.기저핵에서 운동을 조절하는 기능 장애 초래.기저핵 경..
안녕하세요. Walking 시리즈 입니다. 이번에는 병적 보행 중 하나인 Flaccid paralytic G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한국어 직역하자면 이완성 마비 보행이라고 합니다. 어떤 보행인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완성 마비? (Flaccid parlaysis)근육의 긴장도(tone)와 힘(strength)이 모두 소실된 상태를 말합니다. 근육의 긴장도가 소실되고 약화된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근육 긴장도 소실근육이 이완된 상태로 늘어져 있으며, 탄력성이나 저항감이 없습니다.손상된 부위는 무기력하며, 움직임을 유지하거나 조절하지 못합니다.힘의 소실자발적으로 근육을 수축할 수 없기 때문에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합니다.근위축(Muscle atrophy)근육이 신경 자극을 받지 못하면서 시..
안녕하세요. Walking 시리즈 입니다. 이번에는 병적 보행 중 하나인 Steppage gait & Foot drop gai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Steppage gait ? Foot drop gait ?Steppage gait:"높이 들며 걷는 걸음걸이""높이 들어 걷는 보행""계단 오르듯 걷는 보행" = 무릎이 높게 들림이름에서 유래한 대로, 보행 시 발을 높이 들어 올리는 동작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Foot drop gait:"족하수 보행(足下垂 步行)""발처짐 보행""발 처짐 걸음걸이"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보통 Foot drop 즉 발이 쳐져서 발을 끌게되는 경우가 많은데, 불편한 상황을 보상하기 위해 발을 높게 드는 동작을 하게 됩니다. 이게 Steppage gait입니다...
안녕하세요. Walking 시리즈 입니다. 이번에는 병적 보행 중 근긴장이상 보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근긴장이상(Dystonia) 정리근육의 비정상적인 긴장과 수축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자세와 움직임이 생기는 상태원인은 1차적으로 유전적인 원인이 있고, 2차적으로 뇌손상, 파킨슨 또는 헌팅턴병처럼 신경퇴행성 질환, 약물등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주로 기저핵(Basal ganglia)의 기능 이상으로, 과도한 흥분은 운동 조정 장애와 근육의 과도한 수축을 일으킨다.보행 시 관절의 움직임이 비정상적이며 예측하기 어렵고, 보행속도가 늦으며 낙상의 위험이 있습니다.2. 기저핵(Basal ganglia)?1) 기저핵은 뇌의 심부에 위치한 신경핵(nuclei)들의 집합체 입니다. 2) 위치는 대뇌 반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