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분류 체계의 종류
1.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2. ICD-10: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 국내에서는 보험 청구 시 주로 적용
왜 필요한가?
임상의가 다양한 정신 질환의 원인을 밝혀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의 언어가 필요
# DSM-Ⅳ-TR
: 질환의 정의를 임상적인 특징기술로 이루어짐. 원인, 발병 기전에 대해는 기술하지 않음. 각 질환의 연관된 특징을 체계적으로 기술. 진단 기준을 기술하여 신뢰성이 증가. 정보가 불충분하거나, 임상증상이 진단기준에 충분히 부합하지 않으면 atypical, NOS, residual 등으로 기술
(TR: text revision으로 개정판)
* Multi-axial evaluation
DSM-Ⅴ-TR에서는 사용하진 않지만 아직도 의료현장에서는 사용하는 DSM-Ⅳ-TR의 다축 진단
크게 5가지 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순서대로 진행하여 진단.
Axis 1 | 주요 정신 질환 및 임상 장애 - 치료해야하는 임상적인 질환이나 증상 |
Axis 2 | 성격 장애, 지체 장애, 방어기제 - 영향을 미치지만 단기간에 치료하기는 어려운 사항 |
Axis 3 |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 영향을 끼치는 신체질환(만약 신체질환이 정신장애의 원인이 되면 Axis 1에도 적는다) |
Axis 4 | 심리 사회적 및 환경적 상태 - 스트레스에 관한 축, 긍정적인 스트레스도 포함, 상황에 맞게 스트레스의 제거와 적응을 선택해야함. |
Axis 5 | 전반적인 기능 평가(GAF,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특정시기의 환자 기능 정도를 판단해서 기록. 이땐 시기를 정해놓고 하는 것이 좋다(평가하는 당시, 지난 1년간 가장 기능이 좋았던 때) 0-100점으로 기술 |
1) Axis 1
- Disorders Usually Diagnosed in Infancy, Childhood or Adolescence: 유아기, 소아기, 청소년기에 처음 진단되는 장애로 축2에서 진단되는 정신지체는 제외.
- Delirium, Dementia and Amnestic and Other Cognitive Disorders: 섬망, 치매, 기억상실, 기타 인지 장애
- Mental Disorders Due to a General Medical Condition : 일반 신체 질환에 의한 정신 장애
- Substance-Related Disorders : 물질 관련 장애
-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 정신분열병과 기타 정신증적 장애
- Mood Disorders : 기분 장애
- Anxiety Disorders : 불안 장애
- Somatoform Disorders : 신체형 장애
- Factitious Disorders : 가장성 장애(환자가 의도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만들어 내나, 외적인 보상이 목적이 아님)
- Dissociative Disorders : 해리 장애
- Sexual and Gender Identity Disorders : 성적 장애, 성 주체성 장애
- Eating Disorders : 식사 장애
- Sleep Disorders : 수면 장애
- Impulse-Control Disorders Not Else Classified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충동조절 장애
- Adjustment Disorders : 적응 장애
- Other Conditions That May Be a Focus of Clinical Attention: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되는 기타 장애
2) Axis 2
-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 편집성 성격 장애
-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 분열성 성격 장애
-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 분열형 성격 장애
-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 반사회성 성격 장애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경계성 성격 장애
-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 연극성 성격 장애
-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자기애적 성격 장애
-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 회피성 성격 장애
-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 의존적 성격 장애
-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 강박성 성격 장애
- Personality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성격 장애
- Mental Retardation: 정신 지체
3) Axis 3
any physical disorder or medical conditions
예시. 알코올 중독자의 간질환, 소화기 질환 등
4) Axis 4
- Problems with a primary support group : 일차적인 지지집단과의 문제 ; 가족 관련 문제(죽음, 이혼, 재혼, 학대, 방치, 불화 등)
- Problems related to the social environment : 사회적 환경과 관련되는 문제
- Educational problems : 교육적인 문제
- Occupational problems : 직업적인 문제
- Housing problems : 주거의 문제(집이 없음, 주거환경 부적절, 불안전한 이웃, 이웃간의 불화)
- Economic problems : 경제적 문제
- Problems with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 건강 서비스 문제
- Problems related to interaction with the legal system/crime : 법적 체제와 범죄와의 관계
- Other psycho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기타 심리사회적 문제(재난, 전쟁의 노출, 사회 서비스를 이용못함)

5) Axis 5

30점 이하 부터 조현병의 기준에 해당합니다.


@@@ Prinicipal Diagnosis
- 환자가 Axis 1에서 진단명이 2개 이상이면 가장 중요한 principal diagnosis를 먼저 적고 나머지는 치료가 필요한 순서대로 적기.
- Axis1, Axis 2에서 진단을 모두 가지면 Axis 2가 주요 진단이면 진단뒤에 (Principal dx.)라고 적지 않는 이상 Axis 1이 주요 진단명이다.
- 진단이 2개 이상 붙는데 입원을 해야한다면, 입원의 목적이 되는 원인이 principal Dx.
<Provisional diagnosis>
현재는 해당 질환의 기준을 만족할 수 없으나 언젠간 만족시킬게 확실하면 provision이라고 적을 수 있다.
Duration of illness에 의해 감별 진단이 필요한 경우.
현재는 회복한 상태이나 과거에는 진단기준을 만족했다고 여겨지는 경우는 Prior history로 prior이라고 쓴다.
<NOS, not otherwise specified>
임상 양상이 general guidelines를 충족시키지만, specific disodrer의 기준을 하나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NOS라고 기재. 질환의 원인이 정확히 모를 때 기재
'semi-list > 정신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인 레빈 증후군(Kleine-Levin syndrome) (3) | 2025.02.22 |
---|---|
DSM-5 Diagnosis Chapter (0) | 2025.02.17 |
[조현병] 정형 항정신병 약물 &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0) | 2025.01.10 |